
말 안 듣는 청소년? 훈계 말고 질문을 하라
“①흡연은 암을 유발한다. ②흡연은 치아를 누렇게 만든다. ③흡연은 섹시하지 않다.”
1998년 봄,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(CDC)는 청소년 흡연 예방 캠페인에 나서면서 홍보대행사에 이 세 가지 메시지를 넣으라고 주문했습니다. 금연을 해야만 하는 ‘합리적’인 이유를 나열한 겁니다. 캠페인 전문가 알렉스 보거스키는 다르게 생각했습니다. “그런 전략은 100% 실패할 것이다.”
“10대들이 흡연하는 것은 담배의 해악을 몰라서가 아니다. 어른스럽고 멋있게 보이기를 원해서다”라는 게 그의 생각이었습니다. “어른스러움에 대한 욕망을 채워줘야 캠페인이 효과를 볼 것이다.” 그는 “10대들을 꼬드겨 치명적 중독에 빠뜨리려는 탐욕스러운 담배회사에 맞서 싸우라”고 청소년들을 독려하는 금연광고 시리즈 ‘진실’을 만들었고, 10대 흡연율을 크게(28%→6%) 낮추는 성공을 거뒀습니다.
미국 텍사스오스틴대 심리학과 교수인 데이비드 예거는 최근 낸 저서 <어른의 영향력(원제 10 to 25: The Science of Motivating Young People, 어크로스 펴냄)>에서 “청소년의 행동 변화를 끌어내는 건 재미나 호기심, 위협이 아니라 지위와 존중”이라고 일깨웁니다. “사춘기에 접어드는 10세부터 25세까지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과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젠이 풍부하게 분비되고, 뇌 발달도 가속도가 붙는다.”
이 시기에 인간의 뇌는 자부심, 찬사, 존중 같은 사회적 보상을 갈망하고, 굴욕이나 수치 같은 사회적 고통을 극도로 혐오한답니다. 자식이나 제자들에게 ‘잘되라고’ 하는 조언의 대가로 돌아오는 게 반항인 경우가 빈번한 이유입니다. “어른들의 유익한 조언이 청소년들에게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고, 세대 갈등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.”
예거 교수는 청소년을 대하는 어른(리더)의 유형을 ‘강요자’와 ‘보호자’ ‘멘토’ 세 가지로 나눕니다. 강요자 유형은 ‘뛰어난 인재가 되려면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“며 지원해주는 것 없이 높은 기준만 제시합니다. 보호자 유형은 ’달성하기 어려운 기준을 제시하는 건 잔인한 일‘이라고 여기며 정당한 성취보다 자존감 향상을 우선시합니다. 멘토는 높은 기준을 제시하되 상대를 믿고 존중하면서 지원을 아끼지 않습니다.
예컨대 제출받은 보고서에 보완을 요구할 때 “내 기준이 무척 높고, 네가 그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”고 피드백 이유를 명시하면 결과가 달라진다는 것입니다. 실험 결과 교사로부터 기대와 조력을 암시한 피드백을 받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보고서를 다시 수정해 온 비율이 두 배 높았답니다. “지시하지 말고 질문을 던지되, 피드백의 의도와 목적을 분명하게 밝히라.”
미국 프로농구(NBA)의 슈팅코치 칩 엥겔랜드가 그런 유형의 대표적 지도자로 꼽힙니다. 그는 NBA 팀 샌안토니오 스퍼스에서 17년 동안 코치로 일하며 토니 파커, 거와이 레너드 등 전설적인 선수들의 슛을 개선했습니다. 깐깐했지만 어린 선수들이라고 무시하지 않았고, 전체를 수정하기보다 사소할 수도 있는 세세한 부분만을 콕 집어서 고쳐줬습니다. NBA 사상 최고의 공수겸장 플레이이로 불리는 레너드에게는 공을 던질 때의 릴리스 포인트를, 셰인 베티에(통산 8408득점 기록)에게는 공을 쥘 때 손가락 위치를 바꾸도록 조언했습니다. 그 과정에서 선수들의 자율성을 존중했고, “그는 슈팅코치 이상이다. 농구계의 심리학자”(셰인 베티에)라는 찬사를 받았습니다.
경제사회연구원 고문
이학영 드림
말 안 듣는 청소년? 훈계 말고 질문을 하라
“①흡연은 암을 유발한다. ②흡연은 치아를 누렇게 만든다. ③흡연은 섹시하지 않다.”
1998년 봄,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(CDC)는 청소년 흡연 예방 캠페인에 나서면서 홍보대행사에 이 세 가지 메시지를 넣으라고 주문했습니다. 금연을 해야만 하는 ‘합리적’인 이유를 나열한 겁니다. 캠페인 전문가 알렉스 보거스키는 다르게 생각했습니다. “그런 전략은 100% 실패할 것이다.”
“10대들이 흡연하는 것은 담배의 해악을 몰라서가 아니다. 어른스럽고 멋있게 보이기를 원해서다”라는 게 그의 생각이었습니다. “어른스러움에 대한 욕망을 채워줘야 캠페인이 효과를 볼 것이다.” 그는 “10대들을 꼬드겨 치명적 중독에 빠뜨리려는 탐욕스러운 담배회사에 맞서 싸우라”고 청소년들을 독려하는 금연광고 시리즈 ‘진실’을 만들었고, 10대 흡연율을 크게(28%→6%) 낮추는 성공을 거뒀습니다.
미국 텍사스오스틴대 심리학과 교수인 데이비드 예거는 최근 낸 저서 <어른의 영향력(원제 10 to 25: The Science of Motivating Young People, 어크로스 펴냄)>에서 “청소년의 행동 변화를 끌어내는 건 재미나 호기심, 위협이 아니라 지위와 존중”이라고 일깨웁니다. “사춘기에 접어드는 10세부터 25세까지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과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젠이 풍부하게 분비되고, 뇌 발달도 가속도가 붙는다.”
이 시기에 인간의 뇌는 자부심, 찬사, 존중 같은 사회적 보상을 갈망하고, 굴욕이나 수치 같은 사회적 고통을 극도로 혐오한답니다. 자식이나 제자들에게 ‘잘되라고’ 하는 조언의 대가로 돌아오는 게 반항인 경우가 빈번한 이유입니다. “어른들의 유익한 조언이 청소년들에게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고, 세대 갈등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.”
예거 교수는 청소년을 대하는 어른(리더)의 유형을 ‘강요자’와 ‘보호자’ ‘멘토’ 세 가지로 나눕니다. 강요자 유형은 ‘뛰어난 인재가 되려면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“며 지원해주는 것 없이 높은 기준만 제시합니다. 보호자 유형은 ’달성하기 어려운 기준을 제시하는 건 잔인한 일‘이라고 여기며 정당한 성취보다 자존감 향상을 우선시합니다. 멘토는 높은 기준을 제시하되 상대를 믿고 존중하면서 지원을 아끼지 않습니다.
예컨대 제출받은 보고서에 보완을 요구할 때 “내 기준이 무척 높고, 네가 그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”고 피드백 이유를 명시하면 결과가 달라진다는 것입니다. 실험 결과 교사로부터 기대와 조력을 암시한 피드백을 받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보고서를 다시 수정해 온 비율이 두 배 높았답니다. “지시하지 말고 질문을 던지되, 피드백의 의도와 목적을 분명하게 밝히라.”
미국 프로농구(NBA)의 슈팅코치 칩 엥겔랜드가 그런 유형의 대표적 지도자로 꼽힙니다. 그는 NBA 팀 샌안토니오 스퍼스에서 17년 동안 코치로 일하며 토니 파커, 거와이 레너드 등 전설적인 선수들의 슛을 개선했습니다. 깐깐했지만 어린 선수들이라고 무시하지 않았고, 전체를 수정하기보다 사소할 수도 있는 세세한 부분만을 콕 집어서 고쳐줬습니다. NBA 사상 최고의 공수겸장 플레이이로 불리는 레너드에게는 공을 던질 때의 릴리스 포인트를, 셰인 베티에(통산 8408득점 기록)에게는 공을 쥘 때 손가락 위치를 바꾸도록 조언했습니다. 그 과정에서 선수들의 자율성을 존중했고, “그는 슈팅코치 이상이다. 농구계의 심리학자”(셰인 베티에)라는 찬사를 받았습니다.
경제사회연구원 고문
이학영 드림